분류 전체보기134 [토론] 네트워크 I - 자율 주행 기술에 대한 토론 다음 토론답변은 KG아이티뱅크 2학기 3기수 네트워크 I 수업의 토론 주제에 대한 개인적인 답변입니다. 이에 받은 점수와 무관하게 학기를 마무리하며 개인적으로 기록을 남기고자 포스팅합니다. 주제 1. 자율주행 기술과 우리가 배우는 네트워크는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네트워크 기술이 어떻게 자율주행 기술에 적용 돼 있을까요?) 2. 자율주행 기술이 우리 생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 3. 언제쯤이면 자율주형이 대중화 될까요? 답변 네트워크 기술은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GPS 시스템에 이미 적용되어 있습니다. 위성 신호가 미약한 곳에서도 무선 네트워크의 시간 및 GPS신호 저장, 수집으로 인해 안정적인 위치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도로 상황을 기록하는 .. 2020. 12. 22. [Python]1 - Find Pi to the Nth Digit, 원주율 N번째 자릿수까지 계산하기 원주율이란? π = Pi = circumference / diameter = 3.14 구하는 방법 이집트나 바빌로니아에서 최초의 원주율을 바퀴를 직접 굴려 구했다고 한다. 우리가 잘 아는 기원은, 기원 전 250년 경 아르키메데스가 원에 내접 / 외접하는 96각형과 닮은 삼각형의 공식을 이용, 이의 둘레가 원의 둘레와 비슷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약 "3.14163"정도로 구한 것이다. 그 뒤엔 공식을 통해 원주율을 구하는 아주 다양한 방법이 나왔다. 밑의 두 개 링크 참조. 누가 뭐래도 나는 나무위키가 좋다 - namu.wiki/w/%EC%9B%90%EC%A3%BC%EC%9C%A8/%EC%97%AD%EC%82%AC 수학 관련 블로그 - www.mathscareers.org.uk/calculating-pi.. 2020. 12. 14. [Python]3 - Fibonacci Sequence 피보나치 수열 N번째의 피보나치 수열 원소를 반환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자. 피보나치 수열이란? 출처: 위키피디아 - ko.wikipedia.org/wiki/%ED%94%BC%EB%B3%B4%EB%82%98%EC%B9%98_%EC%88%98 나무위키 - namu.wiki/w/%ED%94%BC%EB%B3%B4%EB%82%98%EC%B9%98%20%EC%88%98%EC%97%B4#s-1 "피사의 레오나르도로 널리 알려진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1202년 토끼의 번식을 언급하면서 이 수에 대하여 연구했다. 하지만, 피보나치가 최초로 연구한 것은 아니고 인도의 수학자가 최초란 기록이 남아있다. 기원전 450년 핑갈라가 쓴 책에서 최초로 이 패턴이 언급되었고 이후 인도의 수학자들이 이 수에 대하여 연구한 흔적들이 발견되었다. .. 2020. 12. 8. [Python]9 - 이진수 (Binary) & 십진수 (Decimal) 컨버터 이진수 -> 십진수, 십진수 -> 이진수 컨버터를 구현해보자. 파이썬 구현 import re # Get the Conversion System and Number to Convert system = input("Choose between [1: Binary -> Decimal, 2: Decimal -> Binary] ") number = input("Enter your number: ") def binary_to_decimal(number): # regular expression to validate the number if len(re.findall('[^01]',number)) != 0: print('Enter a valid binary number') return i = converted = 0 n.. 2020. 12. 8.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다음